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고 제2024-0523호
2024년도 「정보보호 특성화대학 지원사업」 수행기관 선정 공모
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미래 정보보호 산업을 선도할 우수인재 발굴 및 양성을 위해 2024년도 「정보보호 특성화대학 지원사업」에 대한 신규 선정을 공고하오니 동 사업에 참여를 희망하는 대학은 관련 규정 및 절차에 따라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
2024. 5. 8.
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
한국인터넷진흥원장
2024년도 「정보보호 특성화대학 지원사업」 수행기관 선정 공모
ㅇ 산학협력 기반 국내 4년제 대학의 정보보호 관련 학과 및 전공 지원을 통한, 학부과정 교육기반 강화 및 직무 중심의 정보보호 전문인력 양성
`
ㅇ (지원대상) 2024년 공모를 통해 정보보호 특성화대학 2개교 선정
- 대학은 국·내외 정보보호 기업·기관 등 참여기관(3개 이상)과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신청
※ 주관기관(대학)에게만 예산을 지원하며, 사업 참여인력은 주관기관 소속인 자로 구성‧배출인력은 주관기관 재학생에 한정
- 정부지원금 대비 지원금의 20%이상(현금 100%) 대응 투자 필수
※ 민간 투자금액(자체부담금액)은 20%를 초과하더라도 사업 종료 시까지 모두 적립
ㅇ (당해 연도 사업기간) 협약일 ~ ’24.12.31(1차 년도)
※ 매년 평가결과에 따라 차년도 사업지원(1년 단위로 협약체결), 4년차 성과평가 결과에 따라 2년 추가 지원(최대 6년) 여부가 확정됨, 최대 6년(4+2년) 지원 후 자립화
ㅇ (지원규모) 학교당 매년 4.5억원 규모로 4년간(최대 6년) 지원
※ 정부 지원금 예산편성 상황에 따라 학교당 지원 금액 변동가능
ㅇ (지원내용) 정보보호 특성화대학 운영을 위한 사업비 지원
- 실습환경 교육인프라 구축 및 개선, 교육과정 신설·개편 및 산학협력 프로젝트, 인턴십, 해외 교육 및 연수, 산학협력중점교수 채용, 학업장려금 등
ㅇ (주요 선정내용) 정보보호 기본과정 외 직무 중심의 특성화교육이 가능한 학과 또는 전공
- (특성화과정) 사이버보안 10만 인재 양성계획의 대표 직무인 ‘보안관리’, ‘사고대응’, ‘보안SW 개발’의 3개 직무로 구분하여 대학 자율 지원
※ ① 보안관리, ② 사고대응, ③ 보안SW 개발 중 1개 직무를 선택하여 지원
※ 위 3개 직무 관련 산업계 수요, 최신 기술(ChatGPT, AI 서비스/솔루션 등) 및 정부정책(예, AI발전에 따른 역기능 해소)에 기반한 전문적인 커리큘럼과 교육과정을 자율적으로 마련
- (기본과정) 침해사고 대응 전문가 교육과정, 보안 컨설턴트 교육과정 등 대학이 자율적 운영
ㅇ 관련법령 및 규정
- 정보보호산업의 진흥에 관한 법률 제15조(전문인력의 양성)
- ICT 기금사업관리 관련 규정 및 지침 등
□ 평가방법
ㅇ 평가위원회를 통해 발표평가(PT) 진행
※ KISA의 평가위원회 POOL을 활용하여 산업계 전문가 등 8인 내외 평가위원회 구성
☞ 발표자료는 세부선정평가표를 기준으로 작성하며, 사업계획서 관련 페이지 반드시 명시
ㅇ 제출된 사업계획서를 기반으로, 수행능력 및 계획 등을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
평가방법 |
주요내용 |
평가위원회
(산업계 전문가 등) |
․사업계획서를 토대로 제출서류 검토 및 평가
․총괄책임자 발표를 통해 평가위원회에서 평가 |
□ 평가내용 및 기준
ㅇ 정보보호 직무 특화 교육 전략(5), 대학 운영 계획(15), 인프라 구축(15), 산학연 연계 강화(35), 전문인력 양성(25), 기대 효과(5)에 대한 내용을 평가하며, 산학 협력 중점 교수 1인 이상 채용 확약 시 가산점(2점), 신규 지원 대학 가산점(2점), 수도권(서울·경기·인천) 외 지방 소재 대학 가산점(2점)* 부여
*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속 과학기술특성화 대학 및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제외
ㅇ 평가점수는 가산점 포함 총 점수(106점) 중 최고 및 최저점수를 제외한 점수의 산술평균을 통해 종합평점 산출
※ 종합평점이 70점 미만인 경우 경합 탈락에 따른 “지원제외”로 분류
※ 동점자 발생 시, 「한국연구재단 국책연구본부 평가점수 동점자 처리방안」을 따름
(높은 배점의 평가항목 평가점수가 높은 순으로 우선순위 부여)
□ 지원제외
ㅇ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참여 제한 중인 자(개인 또는 기관)
ㅇ 신청과제가 공고된 내용 및 기타 관련규정에 부적합한 경우
□ 기타사항
ㅇ 선정대학에 대해 매년 연차평가를 실시하며, 4년차 성과평가 결과에 따라 우수대학 2년 추가 지원(최대 6년) 여부가 확정됨
ㅇ 접수방법 : KISA 전자계약시스템(https://cont.kisa.or.kr)을 통한 온라인 접수
ㅇ 접수기간 : 2024. 5. 8.(수) 14:00 ~ 2024. 6. 7.(금) 14:00 까지
※ 접수기간 내 자료제출이 완료되지 않을 시 평가대상에서 제외되며, 접수 기간 이후 수정 불가
ㅇ 제출자료
1) 사업계획서 제출 공문 1부(주관대학 기관장 명의)
※ 파일명 : ○○대학_공문.pdf
2) 사업발표자료(20분 발표 및 20분 질의응답, 접수현황에 따라 시간변동 가능)
※ 파일명 : ○○대학_발표자료.pdf
3) 사업계획서(표지 및 서약서 등은 직인 날인하여 스캔본 삽입)
※ 파일명 : ○○대학_사업계획서.pdf
4) 사업자등록증, 법인등기사항증명서, 법인인감증명서 각 1부, 사용인감계(해당시) 1부, 산학협력중점교수 채용확인서/확약서(해당시, 신청서식의 별첨4) 1부 |
ㅇ 문의처
- 사업관련 : 보안인재정책팀 사업담당(061-820-1844)
추진일정 |
|
수행주체 |
|
일시 |
|
|
|
|
|
사업공고 및 접수 |
|
․주관대학→한국인터넷진흥원 |
|
2024.05.08(수) 14:00
~ 2024.06.07(금) 14:00 |
⇩ |
|
|
|
|
사업설명회 |
|
․한국인터넷진흥원 |
|
2024.05.21(화) |
⇩ |
|
|
|
|
과제 평가 |
|
․한국인터넷진흥원(평가위원회) |
|
2024.06.18.(화)(예정) |
⇩ |
|
|
|
|
평가결과 통보 |
|
․한국인터넷진흥원→주관대학 |
|
2024.06.18.(화)(예정) |
⇩ |
|
|
|
|
수정사업계획서 제출 |
|
․주관대학→한국인터넷진흥원 |
|
2024.06월중(예정) |
⇩ |
|
|
|
|
협약 체결 |
|
․한국인터넷진흥원↔주관대학 |
|
2024.07월중(예정) |
※ 상기일정은 추진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
구 분 |
주요내용 |
일시 |
▪ 2024. 5. 21(화) 14:00 ~ 16:00 |
신청 기한 |
▪ 2024. 5. 17(금) 18:00까지 |
신청 방법 |
▪ 설명회 참석신청 이메일을 sangjun@kisa.or.kr 로 발송
※ 신청인은 이메일 제목에 ‘설명회 참석신청’, 본문에 ‘이름, 대학’을 기재해야 함
※ KISA는 5.17(금)까지 신청인 대상 사업설명회 장소(서울지역 예정) 회신 |
주요 내용 |
▪ 사업 추진방향, 신청방법, 신청절차, 유의사항 등 설명 및 질의응답 |